본문 바로가기

스포츠59

에뻬: 칼과 전기심판기 작동 원리 칼 규정에 따르면 에뻬의 전체 무게는 770g 이내여야 하고 최대 길이는 110cm입니다. 세부적인 치수 규정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람므(블레이드)는 강철이며 날카로운 날이 없는 삼각형 단면입니다. 람므는 가능한 곧아야 하고 세 면 중 어느 하나라도 그 폭의 최대 넓이가 24mm를 넘어서는 안됩니다. 그리고 전기선(블레이드 와이어)이 들어있는 홈이 위쪽으로 올라온 상태로 조립되어 있어야 합니다. 만약 람므가 휘어져 있다면 그 휘어짐은 규칙적이어야 하고, 1cm 이내이어야 합니다. 또한 그것은 수직 방향으로 휘어졌을 때만 인정이 되며, 람므의 중간 부분에서 휘어져 있어야 해요. 람므의 휘어짐은 다음과 같이 측정합니다. i) 람므는 상기의 휘어진 상태로 평평한 면에 내려놓는다. ii) 평평한 바닥에서 람.. 2014. 8. 5.
플러레: 칼과 전기심판기 작동 원리 플러레 칼 * 15cm는 절연테이프로 절연되어저야 하는 부분을 뜻합니다. FIE 장비 규칙에서는 플러레 칼에 대한 다음과 같은 규정이 존재합니다. 1. 전체 무게는 500g 이하 2. 최대 길이는 110cm 3. 검신(람므 lame, blade)에 대한 규정 - 최대 길이 90cm. 절단면이 4각형이며, 강철로 제작 - 모서리들은 날카롭지 않고 완만해야 한다. - 전선(전기선) 부착을 위해 람므의 파인 부분이 위로 향한다 Ø 전기선은 보통 ‘블레이드 와이어’라고 부릅니다. 플러레는 람므의 길게 움푹 파인 홈 속에 접착제로 붙여진 한 전기선이 통하고 있는데, 이는 전기심판기가 판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 선은 뽀엥뜨 다레에서 꼬끼유 안쪽의 일치하는 플러그와 항시 연결되어 있습니다.. 2014. 8. 2.
경기대(piste)와 전기심판기 - 경기대(Piste) 펜싱 경기의 진행은 삐스트 위에서 이루어집니다. 선수들이 시합을 뛰는 공간인 삐스트(경기대)는 중세시대 성의 복도를 본따 만든 것으로 실제 크기의 4분의 1로 복제한 것이라고 합니다. 면적은 길이 14m, 폭 2m 이고 피스트의 양쪽은 선수의 안전을 위하여 1.5m - 2m의 여유 면적을 두고 있습니다. 사진을 보면 양쪽 끝에 노란색으로 표시된 선들이 보이는데요. 이 선들은 각각의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A: 심판기 테이블 C: 중앙선 G: 경기 시작선 R: 후방 연장면 M: 안전거리 최소 1m L: 마지막 2m 삐스트 E: 삐스트 후방한계선(끝선) S: '2m 후 endline' 표시선 처음 경기를 시작할 때, 그리고 유효타가 들어간 이후 시합을 재개할 때에는 선수들이 경기 시.. 2014. 7. 30.
펜싱 경기를 위한 장비들 (2) 경기를 위해 필요한 가장 중요한 장비인 칼에 대해 알아봅시다. 사용되는 칼은 세 종류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모든 검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부분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 휘어질 수 있는 강철 람므lame(=blade)의 앞쪽 최전방은 부똥(bouton. 칼 끝에 있는 포인트)으로, 그리고 검의 뒤쪽 끝은 스와(soie. 손잡이를 끼우는 부분)로 구성됩니다. 스와는 검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손잡이 속에 있습니다. - 손잡이(쁘와네:poignée)는 그 속에 스와가 조이는 나사 또는 그 밖의 방법으로 고정되어 있고, 선수가 그 손잡이를 통해 검을 잡을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손잡이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조각으로 되어 있을 수 있는 데, 두 번째의 경우, 그것은 퓨제(fusée:보통 손으로 쥐는 부분.. 2014. 7. 29.
펜싱 경기를 위한 장비들 (1) 펜싱 경기를 위해 선수 개인이 필수적으로 착용해야 하는 장비에 대해 알아봅시다. - 바디 코드와 전도성 상의 펜싱 경기는 전기 심판기의 도움을 받아 판정이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심판기와 선수의 장비를 연결해주는 과정이 꼭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어지는 장비가 바로 바디 코드body code(‘휠 드 꼬르 fil de corps’라고도 부릅니다.)와 전도성 자켓(la veste conductrice/conductive jacket)입니다. 바디 코드의 경우 에뻬용과 플러레/사브르 용으로 나눠집니다. 전도성 자켓은 보통 ‘메탈 자켓’이라고 부르며 이 장비는 플러레와 사브르 선수만 착용합니다. 전도성 자켓은 각 종목의 공격 유효 범위를 나타냅니다. 에뻬의 경우 전신이 유효면이므로 전도성 자켓을 입지 않습.. 2014. 7. 28.
플러레 마스크 와이어(+바디코드) 수리법 이번 시간에는 플러레와 사브르에서 사용하는 마스크 와이어를 수리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하지만 사실 마스크 와이어는 잘 고장나지 않아요. 그래서 이 수리 방법은 마스크 와이어보다는 바디코드에 있는 집게 부분에 더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마스크 와이어의 집게와 바디코드 집게는 똑같이 생겨서 수리 방법도 동일합니다. 위의 사진에서 보이는 것이 바로 마스크 와이어인데요. 사진을 잘 살펴보시면 집게와 연결된 코드 부분이 납땜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통 집게 부분은 아주 단단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코드와 연결된 부분의 바로 위에서 코드 안의 구리선이 끊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석대로라면 이 경우 인두를 사용해서 납땜 부분을 제거하고 다시 붙여주어야 하겠지만 보통 인두와 납을 가지고 다.. 2014. 7. 15.
펜싱 장비의 고장과 상황별 수리법 이번 글은 펜싱 장비가 익숙해지신 분들, 스스로 장비를 고치고 싶으신 분들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사실 장비에 이상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참 어렵습니다. 정확히는 ‘어떤 부분’이 고장이 난 것인지를 판단하는 게 어렵죠. 평소에도 장비를 테스트 해 보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가장 좋지만 그러기가 참 어렵습니다. 따라서 장비의 고장 여부를 대부분 피스트 위에서 확인하게 되는데요. 피스트 위에 있다는 건 경기 시작 전이거나 경기 중이라는 뜻이니 바로 고치는 것은 어렵습니다. (그래서 이전 글에서 이야기 했듯 칼이나 바디코드 등은 항상 여유분을 가지고 다녀야 합니다.) 하지만 피스트 위에 있을 때 적어도 내 장비의 어느 부분이 고장나 있는 것인지 확인해 준다면 경기가 끝나고 스스로 고치거나 장비 수리를 할 줄 .. 2014. 7. 14.
플러레 바디 코드(바디 와이어) 수리법 *주의! 취미로 가볍게 하는 것이고 귀동냥으로 수리를 배워서 용어나 설명이 실제 펜싱 선수분들이 쓰시는 것과는 많이 다를 수 있습니다.ㅠㅠ 이번 글에서는 플러레 바디 코드에 대해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플러레 바디 코드는 이전에 보았던 에페 바디 코드와는 또 다른 모습입니다. 플러레는 메탈 자켓이라는 걸 추가로 입고 경기를 진행하고 자켓 부분에 들어간 공격만 인정되기 때문에 에페와는 달리 자켓과 심판기를 연결하는 집게 달린 코드가 존재하게 됩니다. 전체적인 플러레 바디 코드의 모습은 아래와 같습니다. 앞의 글에서도 나온 이야기인데요. 플러레 바디 코드에서 가장 많이 고장나는 곳은 칼과 연결되는 부분입니다. 위 사진의 바디코드도 이 부분이 고장나 있는 상태입니다. 선이 붉은 플라스틱 밖에 나와있는 것 보이.. 2014. 7. 10.
피스트를 방황하는 초보 플러레 선수를 위한 안내서 떨리는 마음으로 경기를 뛰기 위해 피스트에 올라왔는데 심판기에서 계속 흰색 불이 들어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상대편을 찌르지도 않았는데 흰 불이 들어온다는 것은 보통 장비에 이상이 있는 경우인데요. 이 때 자신의 장비의 어떤 부분에 이상이 있는지 빨리 파악해 교체하지 않으면 심판에게 경고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저희 같은 초보자들은 이 경우 매우 당황스럽습니다.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아마추어+초보 플러레 선수들을 위한 체크리스트:) 일단 장비를 모두 잘 착용하고 있는지 확인해 볼까요? 플러레 선수는 마스크 와이어, 바디 코드, 메탈 자켓, 플러레 칼, 그리고 바베트가 달린 마스크를 사용합니다. 위의 사진에서는 마스크를 제외한 모든 장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확인하셔.. 2014. 7.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