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싱27 펜싱 토막 지식 (2) 7. 에스뀌브(Escquive)와 이동(Déplacement) 및 앞지르기(Dépassement) 검을 들지 않은 손 또는 뒤 다리의 무릎이 지면에 닿았다 할지라도 데쁠라스망과 에스뀌브는 허용됩니다. 그러나 대전 도중에 상대방에게 등을 돌리는 것은 금지됩니다. 등을 돌린 경우에는 벌칙을 받게 되며 반칙을 범한 선수가 실행하여 얻은 뚜슈는 무효로 처리됩니다. 대전 도중, 한 선수가 상대방을 통과하였을 경우, 심판은 즉각적으로 ‘halte’를 명해야 하며 이후 두 선수는 앞지르기가 일어나기 전의 자리에 다시 위치합니다. 두 선수의 교차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교환된 뚜슈는 그것이 즉시 이루어진 것이라면 유효하지만 통과가 이루어진 후에 던져진 뚜슈의 경우 무효로 처리됩니다. 단 공격을 받은 선수가 몸을 돌려서 .. 2014. 8. 29. 펜싱 토막 지식 (1) 1. 펜싱복은 왜 흰색인가요? 전기 심판기가 출현하기 전까지는 검 끝에 코튼을 부착하고 코튼에 색이 있는 쵸크를 묻혀 상대 펜서의 유니폼에 자국이 찍힌 것으로 뚜슈 판정을 내렸다고 하는데요. 이 때 쵸크의 색이 잘 보이도록 흰 옷을 입었던 것이 현재까지 이어져오게 된 것이라고 합니다. 2. 왜 ‘750g 이상’의 압력을 가했을 때 뚜슈가 되도록 칼을 만든 건가요? 뚜슈로 인정되는 불이 들어오는 데에 필요한 750g의 압력 무게는 피부에 자상을 입히며 투과하는데 필요한 만큼에 힘을 토대로 정한 것입니다. 옛날 결투에서는 최초로 피를 흘리는 것이 명예를 읿는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자상을 입는 정도의 힘으로도 공격이 성공했다고 보는 것이죠. 3. 왜 사브르는 유효면이 상체뿐인가요? 사브르는 유효면이 허리 .. 2014. 8. 25. 에뻬 대전 관습 1. 에뻬는 오직 찌르기만 하는 종목입니다. 이 종목의 공격행동은 뽀엥뜨(검끝)로서만 이루어집니다. 에뻬도 ‘allez’에서 ‘halte’사이에 전기 검의 뽀엥뜨를 전도성의 금속 삐스트 바닥에 누르거나 끄는 것, 또한 어느 경우든 금속 삐스트 위에서 검을 펴는 것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2. 유효면 에뻬에서 유효면은 선수의 도복과 장비를 포함한 신체의 모든 부분입니다. 즉 신체의 전 부분(몸통, 사지, 머리 등)이나 복장, 장비에 닿은 모든 뚜슈가 점수로 계산됩니다. 3. 꼬르-아-꼬르와 플레쉬 에뻬에서 플레쉬에 의한 것이든 또는 몸을 앞으로 과감하게 던지면서 하든, 몇 차례라도 꼬르-아-꼬르를 유발하는 선수는 그것이 격렬하거나 난폭하지 않았다면 펜싱의 기본관습을 어기지 않은 것으로 보고 어떠한 벌칙도 받.. 2014. 8. 23. 플러레 대전 관습 1. 플러레는 오직 찌르기만 하는 종목입니다. 이 종목의 공격동작은 오직 뽀엥뜨만으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대전 동안 (“allez”에서 “halte”사이) 절연 삐스트 위에 뽀엥뜨를 누르거나 끄는 동작은 엄격히 금지됩니다. 또한 어느 경우든 검을 펴기 위해 삐스트 위에서 검을 갖다 대는 것도 금지되어 있습니다. 검을 펴고 싶은 경우는 먼저 심판에게 허락을 받은 뒤 삐스트 밖으로 나가야 합니다. 2. 유효면(Surface Valable:쉬르파스 발라블)과 무효면(Surface non Valable:쉬르파스 농 발라블) 플러레는 유효면에 닿은 뚜슈만이 점수로 계산됩니다. 플러레에서 유효면은 금속 천으로 가려진 모든 부분이라고 생각하면 편한데요. 정확하게는 사지와 머리를 제외한 모든 부분으로 위로는 쇄골 정.. 2014. 8. 22. 펜싱 심판 용어 (2) 경기에서 선수의 움직임은 크게 악시옹 오팡시브(공격행동)와 악시옹 데팡시브(방어행동)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 행동에 따른 판정용어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아따끄’, ‘리뽀스트’, 그리고 ‘꽁뜨르-리뽀스트’는 공격행동에 해당하는 동작입니다. 아따끄(Attaque: 공격)는 팔을 뻗고, 상대방의 유효면을 계속적으로 위협하면서 실행되는 최초의 공격행동을 말합니다. 팡트나 플레쉬가 이에 해당되며 만일 한 선수가 먼저 공격하였을 경우 그의 공격권을 인정한다는 뜻에서 ‘아따끄’라고 말하는 것이죠. 아따끄 동작이 한 번에 이루어졌을 경우는 ‘쌩쁠(simple:단순)’, 동일 선에서 이루어질 경우 디렉뜨(directe:직접), 다른 선에서 이루어질 경우 엥디렉뜨(indirecte:간접). 동작이 여러 번 움직임.. 2014. 8. 14. 펜싱 심판 용어 (1) 클럽에서 운동을 하다 보면 선수들끼리 돌아가면서 심판을 보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심판이 뭘 해야 하는 것인지, 어떤 말을 해야 하는 건지 잘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래서인지 초반에는 심판을 보는 것을 서로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요. 하지만 언제까지 피하기만 할 수는 없죠! 이번 글에서는 심판이 어떤 일을 해야 하는지 간단하게 알아보고 심판이 사용하는 용어에 대해서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항상 말씀드리는 이야기이지만 저는 취미로 펜싱을 배우고 있고 정식 교육은 받은 적이 없기에 사용하는 용어가 실제 FIE 공식 대회에서 사용되는 것과는 다를 수 있어요.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펜싱경기는 심판의 주관 하에 이루어집니다. 심판은 규칙과 관습 내에서 경기의 결과를 판정하고, 벌칙을 부여하기도.. 2014. 8. 13. 펜싱 배우는 곳 추천 안녕하세요. KUWRITER입니다. 본 블로그를 꾸준히 보신 분이면 제가 취미로 펜싱을 한다는 사실을 아실텐데요 :) 저 외에도 팀블로거 중에도 같에 펜싱을 즐기는 친구도 있답니다.각설하고 오늘은 펜싱 학원, 그러니까 펜싱 클럽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런던 올림픽 이후 펜싱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지요? 그만큼 클럽들도 생겼고요. 그중에 저는 제가 다니고 있는 은호 펜싱 클럽! 을 추천해드리려고 합니다. (그러고보니 벌써 펜싱을 배운지 7년차가 되었네요. 순수하게 운동한 기간은 그보다 적지만 ^^;; 그만큼 펜싱은 매력적인 운동이랍니다.) (실제 운동 모습이예요~) 먼저 위취가 중요하겠지요? 은호펜싱클럽은 가산디지털단지역 근처에 자리잡고 있답니다. 역에서 걸어서 3분 거리예요. 지하철로 오기 편하겠죠? .. 2014. 8. 10. 사브르: 칼과 전기심판기 작동 원리 + 특별규칙 사브르 칼 사브르에서 사용하는 칼의 최대 길이는 105cm이며, 전체 무게는 500g 이내여야 합니다. 사브르는 앞의 두 종목과는 전혀 다른 모습의 람므를 가지고 있습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전기선이 없다는 점이겠네요. 람므는 강철이며 거의 직사각형의 단면으로 되어있습니다. 최대 길이는 88cm이고 최소 넓이(부똥 쪽)는 넓이는 4mm입니다. 플러레와 에뻬의 경우 부똥이 뽀엥뜨 다레이지만 사브르의 부똥은 일반적으로 칼끝 자체를 구부려 만 형태를 하고 있어요. 위의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부똥 바로 밑의 두께는 최소 1.2mm여야 합니다. 람므의 끝에서 구부러뜨린 곳과의 평행선의 최대 길이는 3mm이내에 위치하고 있어야 하고요. 하지만 모든 사브르 칼의 부똥이 람므의 끝을 구부러뜨린 형태인 것은 아닙니.. 2014. 8. 6. 에뻬: 칼과 전기심판기 작동 원리 칼 규정에 따르면 에뻬의 전체 무게는 770g 이내여야 하고 최대 길이는 110cm입니다. 세부적인 치수 규정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람므(블레이드)는 강철이며 날카로운 날이 없는 삼각형 단면입니다. 람므는 가능한 곧아야 하고 세 면 중 어느 하나라도 그 폭의 최대 넓이가 24mm를 넘어서는 안됩니다. 그리고 전기선(블레이드 와이어)이 들어있는 홈이 위쪽으로 올라온 상태로 조립되어 있어야 합니다. 만약 람므가 휘어져 있다면 그 휘어짐은 규칙적이어야 하고, 1cm 이내이어야 합니다. 또한 그것은 수직 방향으로 휘어졌을 때만 인정이 되며, 람므의 중간 부분에서 휘어져 있어야 해요. 람므의 휘어짐은 다음과 같이 측정합니다. i) 람므는 상기의 휘어진 상태로 평평한 면에 내려놓는다. ii) 평평한 바닥에서 람.. 2014. 8. 5.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