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행복에 관한 질문들83

반려동물이 주는 기쁨 요즈음 인터넷, 티비 등을 통해 버려진 동물들에 대한 제보들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그런데 버려져서도, 그 동물들은 주인이 돌아오기를 애타게 기다리지요. 동물, 그 중에서도 반려동물이 주인에게 보이는 애정은 무한합니다. 우리가 못생겨도, 친구가 없어도 가진 것이 없어도 우리가 키우는 동물은 그러한 차별없이 주인을 믿고 의지하고 따릅니다. 단순히 밥을 주는 존재로뿐 아니라 정서적으로도 동물들이 애착을 가집니다. 이러한 것은 강아지를 키워보면, 강아지들이 밥을 달라고만 하는 것이 아니라 혼자 있으면 따뜻하게 안기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우리는 자주 '귀엽게 생긴' '어리고 예쁜' 동물들의 모습만 접하게 됩니다. 인형처럼 생긴 예쁜 강아지들의 사진들이나 모습을 보면 누구나 가리지 않고 좋아하게 됩니다. .. 2014. 11. 27.
우리 안의 문화다양성 문화 다양성이라는 말, 많이 들어보셨지요? 문화 다양성(Cultural diversity)은 언어나 의상, 전통, 사회를 형성하는 방법, 도덕과 종교에 대한 관념, 주변과의 상호작용 등 사람들 사이의 문화적 차이를 포괄한다. 주류 인류학자들은 인류가 약 2백 만 년 전에 아프리카에서 처음으로 출연하였다는 의견에 일반적으로 동의한다. 인류는 그로부터 세계로 퍼져나갔고, 서로 다른 다양한 상황과, 지역적, 전지구적인 기후의 변화에 성공적으로 적응하였다. 세계 곳곳에 흩어진 많은 사회들은 서로 달라졌고, 이들 중 다수는 현재까지도 지속된다. 언어, 의상, 전통 같은 명백한 사람들 간의 문화적 차이와 마찬가지로, 각 사회가 조직되는 방식, 공유되는 도덕 관념,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방식 에는 분명한 차이가 .. 2014. 11. 21.
멍 때리기의 장점 얼마전에 정말 이색적인 이름의 대회가 열렸습니다. 일명 '멍 때리기 대회'입니다. '멍 때리기'란 아무 것도 하지 않고 안정된 상태로 멍하게 있는 것을 익살스럽게 표현한 말입니다. 가장 잘 '멍 때리기'에 성공한 사람이 우승하는 경기이지요. '멍 때리기'란 멍하게 다른 행동을 하지 않고 멍하게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모든 경기나 대회는 명확한 기준을 필요로 하죠. 그렇기에 이 대회에서는 심장박동 측정기로 심박수의 안정을 측정하여 기준을 마련했습니다. 관련 기사: 제 1회 멍때리기 대회 "현대인들의 뇌는 쉬어야 한다" http://news.donga.com/3/all/20141112/67840155/2 우승자는 다름아닌 9살짜리 어린이. 평소에도 '멍 때리는' 일이 많다는 초등학생이 우승했습니다. 우리는 .. 2014. 11. 17.
성공적인 업무를 위한 행복의 비밀 오늘은 강연 하나를 소개할까합니다. Shawn Achor은 Good think 라는 회사의 CEO이자, 긍정 심리학자입니다. 그는 한 강연에서 우리에게 행복을 얻을 수 있는 비밀에 대해 말합니다. 정말 빠르고, 짧고 재미있는 강연이었는데요, 여러 분들과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먼저 그는, 자신이 어렸을 때 있었던 일화로부터 강연을 시작합니다. 그에게는 두 살 어린 여동생 에이미가 있었습니다. 둘은 함께 침대 위에서 전쟁 놀이를 하다가, 에이미가 이층 침대에서 떨어지고 말지요. 두 팔과 두 다리를 모두 바닥에 붙인 상태로 말이지요.(일명 네발 상태) 그 때, 에이미가 울고 난리를 치기 전에, 그는 에이미에게 말합니다. : "에이미, 사람은 보통 네 발로 착지를 못하잖아, 너는 유니콘이 된 것 같아..! ".. 2014. 11. 12.
함께 행복해지기 위한 방법 칸트는, 인간을 '수단이 아닌 목적으로서' 대하라고 하였습니다. 오늘날 많은 잘못된 현상들은 인간을 부, 자본, 혹은 어떤 목표를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서 대하는 데서 기인합니다. 심지어 (혹은 공공연하게) 연애관계에서 조차 이러한 면이 부각되고 있는 현실입니다. 우리 사회에서 더 이상 그 사람이기 때문에, 그 자체로 사랑할 수 있는 것은 먼 이야기가 되어버린 것일까요? 칸트는 우리에게 어길 수 없는 정언명령으로서 두 가지를 말합니다. 한 가지는 선의지이고, 나머지 한 가지는 의무입니다. 저는 어려운 말을 잘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칸트가 말하는 것이 간단하게는, 어떠한 다른 목적도 거치지 않은 의무로서, 선하고자 하는 의지를 말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경지에 도달하지 못한다고 해도, 사랑이나 인간 관계.. 2014. 11. 11.
창의력과 비일상성 얼마전에 석촌 호수에 러버덕(Rubber Duck: 고무 오리)를 띄운 것이 화제가 되었는데요, 이 전시는 현재 11월 14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는 네덜란드의 설치 예술가 플로렌타인 호프만 (Florentijn Hofman)의 작품인데요. 오늘은 우리에게 조금은 비일상적인 경험들에 대해 말해보려고 합니다. 우리의 일상은 평범한 일상 법칙들에 의해 지배됩니다. 물리적인, 과학적인 측면으로도, 또 자연스러운 방식, 혹은 우리의 생활에 있어서도 일상적이고 반복적인 요소가 지배적입니다. 우리에게 초자연적이거나 말도 안되는 사건들은 꿈 속에서나 가능한 일이죠. 하지만 한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비일상적인 경험은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창의적인 사고를 가능하게 한다고 합니다. 그 다큐멘터리에서 보여.. 2014. 11. 6.
우리에게 놀이란 우리에게 현재 '놀이'란 어떤 것인가요? 삶의 대부분을 노동에 보내던 이전 원시시대에 비해서는 물질적으로 풍요로워지고 '여가'를 어떻게 보내는지가 중요해지면서 '놀이'라는 것이 이전보다 더 중요한 삶의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또한 단순이 여가만의 문제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커다란 면을 차지하고 있는 서비스 산업에서도 놀이와 재미는 이전의 단순히 여가를 보내는 방식으로만 머물러있지 않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우리에게 '직관적 재미'와 '놀이의 경험'을 중시한 아이폰의 성공 신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어린 시절의 우리의 놀이를 생각해봅시다. 어린 시절에는 아주 작은 규모(?)의 놀이들의 우리의 시간들을 많이 채웠습니다. 소꿉놀이, 인형 놀이, 레고 놀이 등등 말이지요. 어린 시절에는 나이가.. 2014. 11. 5.
사랑에 빠지는 이유 사람들은 왜 특정한 사람에게 사랑에 빠지게 되는걸까요? 그 이유를 알려는 시도들은 계속해서 있어왔지만, 너무 복잡한 현상이기 때문에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는데다가, 단순하게 밝혀질 수도 없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기때문에 이에 대해서는 상상이나 어느정도의 동의를 얻는 정도의 가설밖에 없습니다. 오늘은 재미로 그러한 말들에 대해 써보려고 합니다. 1. 진화론적 이유 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져있고, 많은 사람들이 믿고 있는 가설 중 하나 입니다. 우리는 짝을 선택할 때, 진화적으로 유리한 형질에 집중한다는 것입니다. 대표적으로 알려진 것이 여성의 신체에 관한 사항입니다.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가, 여성의 신체는 (진화론적인 시각에서) 번식에 있어 정말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진화론적 시각은 우리가 일반적.. 2014. 10. 30.
유길준 서유 견문 6대주의 구역, 나라의 구별, 세계의 산, 세계의 인종, 나라의 권리, 국민의 권리, 정부의 기초, 정부의 정치 제도, 세금 거두는 법규,납세의 의무, 세금이 쓰이는 일들, 정부에서 국채를 모집하여 사용하는 까닭, 교육하는 제도, 화폐의 근본, 경찰 제도, 정신 박약아 학교, 교도소, 도서관, 각국 대도시의 모습 .. 이는 놀랍게도 현대의 백과사전에 나온 것이 아니라, 지금으로부터 약 백년 전, 조선시대 선비에 의해 쓰여진 책에 나온 목차입니다. 이 선비의 이름은 유길준이고, 책의 제목은 입니다. 서유견문은 조선 말 미국에 사찰단인 보빙사로 파견된 선비 유길준이 더 넓은 세상을 경험한 것을 토대로 쓴 글입니다. 여행기로 분류되어 있고, 많이들 그렇게 알고 있습니다만 사실 단순히 문물을 열거하는 얕은 책이.. 2014. 10.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