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포츠/펜싱

에뻬: 칼과 전기심판기 작동 원리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4. 8. 5.

    칼
규정에 따르면 에뻬의 전체 무게는  770g 이내여야 하고 최대 길이는 110cm입니다. 세부적인 치수 규정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람므(블레이드)는 강철이며 날카로운 날이 없는 삼각형 단면입니다. 람므는 가능한 곧아야 하고 세 면 중 어느 하나라도 그 폭의 최대 넓이가 24mm를 넘어서는 안됩니다. 그리고 전기선(블레이드 와이어)이 들어있는 홈이 위쪽으로 올라온 상태로 조립되어 있어야 합니다. 만약 람므가 휘어져 있다면 그 휘어짐은 규칙적이어야 하고, 1cm 이내이어야 합니다. 또한 그것은 수직 방향으로 휘어졌을 때만 인정이 되며, 람므의 중간 부분에서 휘어져 있어야 해요.

람므의 휘어짐은 다음과 같이 측정합니다
i) 
람므는 상기의 휘어진 상태로 평평한 면에 내려놓는다.
ii)
평평한 바닥에서 람므까지의 최대 거리를 측정한다 : 이 거리가 람므의 휘어진 정도를 나타낸다.



또한 람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을 경우, 휘어짐의 정도가 최소 4.5cm 이상, 최대 7cm 이내여야 합니다.


a)
람므는 부똥 끝에서 70cm되는 지점에 수평으로 고정시킨다.
b) 200g(
오차 +/-1g)의 무게를 부똥 끝에서 3cm되는 지점에 단다.
c)
휘어짐은 무게를 달았을 때와 무게를 달지 않았을 때의 부똥 끝의 거리로 측정한다.





원형인 꼬끼유(가드)는 지름 13.5cm, 길이 15cm의 실린더 관(가바리)을 람므가 실린더의 축과 평행인 상태에서 통과하여야 합니다. 또한 꼬끼유의 깊이(첫번째 그림에서 b c사이) 3cm에서 5.5cm 사이여야 하고 꼬끼유의 편심(람므가 꼬끼유를 통과하는 지점과 꼬끼유 중심과의 거리)은 최고 3.5cm가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허용됩니다. 그림으로 살펴보면 좀 더 이해가 빠르실 거에요.


 


에뻬는 람므의 움푹 파인 부분으로 두 개의 전기선이 들어가 있습니다. 이 두 선은 꼬끼유 안쪽 소켓의 두개 플러그와 연결되어 에뻬의 전류를 형성해요. 플러레와 비교해 보면 에뻬는 바디코드 소켓에서 두 개의 플러그가 칼과 연결되고 세 번째 소켓이 절연에 쓰이는데 플러레의 경우 소켓의 첫 번째 소켓은 메탈자켓, 두 번째 소켓은 칼(플러레 칼은 전기선이 하나입니다.)과 연결이 됩니다.


전류가 연결되면서 전기 심판기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뽀엥뜨 다레에 750g을 초과한 압력이 있어야 합니다경기를 보면 삐스트에서 선수의 에뻬를 검사하기 위하여 750g의 무게측정기(쁘와)를 사용하는 걸 볼 수 있는데요. 이 무게측정기는 세로 부분으로 움푹 파인 금속 원통형으로서 가장자리와 평행하게 구멍이 나 있고 , 람므의 끝부분을 삽입하게 되는 이 구멍은 무게측정기가 에뻬의 어스 부분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안쪽 면이 절연물질로 감싸져 있다고 합니다.




       전기심판기 작동 원리


에뻬의 경우 플러레와는 반대로 전류가 흐를 때, 즉 에뻬의 회로를 형성하는 전기선 사이에서 접촉이 일어났을 때 심판기가 뚜슈를 기록하게 됩니다. 심판기의 작동 방식이 반대이기 때문에 항상 경기를 시작하기 전에 심판기가 원하는 종목으로 설정되어 있는 지를 확인해 주어야 합니다. 종목 전환 버튼을 눌렀을 때 첫 번째로 화면에 뜨는 것이 현재 설정된 종목입니다.

전환 버튼을 누르기 전에도 확인이 가능한데요. 릴에 아무것도 연결되지 않았을 때 흰색 불이 들어오면 플러레, 아무런 불이 들어오지 않으면 에뻬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이렇게 확인이 가능한 이유는 위에서 설명한 내용과 연결됩니다. 플러레의 경우 전류의 순환이 이루어지는(심판기-릴-바디코드-검) 상태가 정상이기 때문에 릴에 아무것도 꽂아져 있지 않으면 이를 비정상적인 것으로 보고 흰색 불이 들어오는 것이고 에뻬는 전류의 순환이 끊어져 있는 것이 정상적인 상태이기 때문에 아무런 불도 들어오지 않는 것이죠.


기본적으로 심판기는 오직 첫 번째 뚜슈만를 기록해야 합니다. 하지만 만약 두 번째 뚜슈와의 시간 간격이 40ms(1초의 1/25) 미만이라면이중 뚜슈가 기록됩니다(이중 신호 램프는 동시에 켜져야 한다). 플러레에서도 다룬 '꾸 두블' 시간이죠? 하지만 플러레의 경우 한쪽에게만 점수를 주거나 무효로 처리하는 반면 에뻬는 꾸 두블을 인정하기 때문에 동시타가 나오면 두 선수 모두에게 점수를 줍니다.  허용오차는 1초의 1/25  1/20 사이여서 시간 간격이 50ms(1초의 1/20) 보다 길어질 때에는 오직 하나의 뚜슈만 기록됩니다.


외부 저항이 10옴으로 정상적인 경우
기계는 2ms의 접촉시간 이하인 경우에는 신호를 기록하지 않고 2-10ms의 접촉시간이 있을 때에만(즉 포인트가 0.02초에서 0.1초 사이의 시간 동안 눌러져 있어야지만) 뚜슈를 기록합니다. 예외적으로 100옴의 외부 저항이 존재할 때에는 접촉시간에 상관없이 뚜슈를 기록합니다. 하지만 접지 회로에 100옴의 저항이 있다 하더라도, 접지된 부분(꼬끼유 또는 전도성 있는 삐스트)에서 만들어진 뚜슈는 기록되지 않아요. 즉 한쪽 릴에서 흐르기 시작한 전류가 반대쪽 릴 또는 삐스트까지 크게 순환할 때에는 뚜슈가 기록되지 않습니다.


에뻬에서는 접지되어 있는지가 중요하기 때문에 심판기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등이 존재합니다. 보통 조그만 노란 색 등입니다. 
또한 앞의 글에서도 이야기 했듯이 심판기는 큰 소리 신호가 있어야 하고 기계가 재설정되기 전에 소리신호를 중지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