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브르 칼
사브르에서 사용하는 칼의 최대 길이는 105cm이며, 전체 무게는 500g 이내여야 합니다.
사브르는 앞의 두 종목과는 전혀 다른 모습의 람므를 가지고 있습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전기선이 없다는 점이겠네요. 람므는 강철이며 거의 직사각형의 단면으로 되어있습니다. 최대 길이는 88cm이고 최소 넓이(부똥 쪽)는 넓이는 4mm입니다. 플러레와 에뻬의 경우 부똥이 뽀엥뜨 다레이지만 사브르의 부똥은 일반적으로 칼끝 자체를 구부려 만 형태를 하고 있어요.
위의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부똥 바로 밑의 두께는 최소 1.2mm여야 합니다. 람므의 끝에서 구부러뜨린 곳과의 평행선의 최대 길이는 3mm이내에 위치하고 있어야 하고요. 하지만 모든 사브르 칼의 부똥이 람므의 끝을 구부러뜨린 형태인 것은 아닙니다. 끝에서 보았을 때 최소 4mm, 최대 6mm의 정방형이거나 장방형의 단면을 가진 둥그런 부똥도 가능합니다.
다른 종목과 마찬가지로
사브르도 칼을 휘어준 뒤 사용하기 때문에(이는 포지션의 한쪽을 막은 상태에서 칼을 똑바로 폈을 때 칼끝이
상대방 뫂통 쪽으로 가게 하기 위한 것입니다.) 람므의 휘어진 정도에 대한 규정도 존재합니다.
람므가 눈에 띄게 계속적으로 휘어진 상태일 경우, 그 휘어짐의 편차는 4cm 이내이어야 합니다. 또한 그 끝이 갈고리 모양이거나 검의 날
방향으로 휘어져 있는 람므는 사용이 금지됩니다.
람므의 휘어짐을 측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i) 람므는 상기의 휘어진 상태로 평평한 면에 내려놓는다.
ii) 평평한 바닥에서 람므까지의 최대 거리를 측정한다 : 이 거리가 람므의 휘어진 정도를
나타낸다. 최대 : 4cm
사브르 람므의 유연성 테스트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며 그 휘어짐의 정도는 최소 4cm, 최대 7cm 이내이어야 합니다.
a) 람므를 부똥 끝에서 70cm되는 지점에 수평으로 고정시킨다.
b) 200g(오차 +/- 1g)의 무게를 부똥 끝에서 3cm되는 지점에 단다.
c) 휘어짐의 정도는 무게를 달았을 때와 무게를 달지 않았을 때의 부똥 끝의 거리로 측정한다.
원형인 꼬끼유는 한 조각으로 만들어지고 표면이 매끄러워야 합니다. 꼬끼유는 볼록 튀어나온 형태이며 두드러지게 테두리가 튀어나지 않고 구멍이 있어서도 안된다고 해요. 또한 꼬끼유에는 보디와이어와 연결되는 소켓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전기회로는 보디와이어와 엉룰뢰르, 엉룰뢰르-심판기를 연결하는 선이 모두 연결되어 닫히면서, 그리고 보디와이어의 두 숫 플러그는 보디와이어의 소켓 안에서 꼬끼유의 어스부분과 직접 연결되어져야 합니다. 꼬끼유의 안쪽은 쿠션이나 절연물질로 완전히 절연이 되어야 하고 바깥쪽은 뽀모로부터 7-8cm정도 절연이 되어 있어요.
전기심판기 작동 원리
심판기는 모든
사브르의 비절연 부분과 상대 선수의 재킷, 글러브, 마스크의
전도성 있는 표면과의 접촉에 의해 작동합니다. 뚜슈가 이러한 유효 전도성 있는 표면에서 이뤄졌을 때, 심판기는 한쪽에는 빨간 불빛, 다른 쪽에는 녹색 불빛을 표시해요.
만약 선수 사브르의 꼬끼유 또는 람므가 그 선수 자신의 장비의 표면과의 접촉해 있어도(노란
불빛), 그 선수에 의해 이루어진 유효 뚜슈는 여전히 기록되고 비 전도성 표면에서 이뤄진 뚜슈는 신호화 되지 않아요. 노란 램프는 선수 사브르의 꼬끼유 또는 람므와 그 선수
자신의 장비의 전도성 있는 표면에 접촉했다는 것을 알려주는 신호입니다.
심판기는 플러레와 비슷하게 작동합니다. 만약 흰색램프에서 소리신호를 동반하여 계속적으로 빛이 들어온다면 펜싱선수의 회로에서 고장으로 인한 어떤 비정상적인 전기적 변화가 생겼다는 걸 알려주죠.
선수가 상대의 람므 또는 꼬끼유를 접촉하면서 상대에게 후리듯이 타격을 가하는 것에 의해서 이루어진 뚜슈는 신호화 하지
않으며, 뚜슈가 기록된 후에 상대 선수에 의한 연속적인 뚜슈가 이루어진 경우, 그것이 최대 120ms(±10ms) 내에 이루어 질 때에만 불이 들어옵니다. 접촉시간은 0.1-1ms사이어야 합니다.
사브르에 관한 특별 규칙
사브르는 마스크 전체가 공격 범위에 포함되기 때문에 마스크의 철망은
절연되지 말아야 하며, 전기의 흐름을 보장하여야 합니다. 또한 턱받이와 부속품들은 전기 재킷과 같은 전도성이 있는 물질로 완전히 덮여있어야 하며 부속품들은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전기 재킷과 마스크 사이의 전기적 접촉은 전기선과 1개 혹은 2개의 악어집게에 의해 연결되는데요. 전기선은 악어집게에 의해서든, 아니면 마스크의 철망에 납땜질이 되어서든 고정되어야 하며 길이는 30∼40cm사이어야 합니다. 코일처리가 된 케이블이 사용될 때도 있는데 이 경우 케이블의 최대길이는 25cm를 넘어서는 안됩니다.
악어집게는 선 끝에 납땜질로 고정되어야 하고 전기선의 색은 흰색이거나 투명한 색이여야 해요.
손도 공격 범위에 들어갑니다. 따라서 펜싱선수가 갸르드 자세 있을 때와 팔을 편 상태에 있을 때 모두, 무장한 손에 착용하는 장갑은 손등의 손가락까지와 소매의 모든 부분을 고정된 또는 붙였다 뗄 수 있는 금속 천으로 덮여있어야 합니다. 금속천은 소맷부리 안쪽으로 최소한 길이 5cm 가량 포개져야 하고, 재킷의 소매와 확실한 부착을 보장하기 위하여 장갑은 탄력성 있는 밴드 또는 고정시키는 단추를 사용해야 합니다.
선수들이 도복상의
위에 착용하는 전도성 있는 전기 재킷은 갸르드 자세를 취한 선수의 다리와 상체가 형성하는 굴곡의 윗부분을 가르는 수평선 위에 위치한 신체의 유효면을
누락 없이 완전하게 덮어야 합니다. 이 전도성 재킷은 팔의 손목까지 덮어야 하며 최소 3cm의 높이의 칼라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등의 중간, 칼라 아래에 마스크의 악어집게를 연결하는 최소 2cm×3cm의 금속 천이 달려있어요.
또한 재킷을 잠그는 방법이 어떠하던 간에 금속성의 천은 선수가 취하는 모든 자세에서 유효면을 충분히 가릴 수 있도록 넉넉한 폭이어야 합니다. 재킷의 소매는 탄력성 있는 밴드로 손의 손목에 고정시키고 선수의 다리를 통과하는
천은 그 위치에서 재킷에 고정시킵니다.
이 글을 기점으로 펜싱의 세 가지 종목 모두 이야기를 했네요! 장비에 대한 설명은 이 정도로 하고 다음 글에서는 펜싱과 관련된 또다른 이야기들로 찾아뵙겠습니다:)
'스포츠 > 펜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펜싱 심판 용어 (1) (0) | 2014.08.13 |
---|---|
펜싱 배우는 곳 추천 (0) | 2014.08.10 |
에뻬: 칼과 전기심판기 작동 원리 (0) | 2014.08.05 |
플러레: 칼과 전기심판기 작동 원리 (0) | 2014.08.02 |
경기대(piste)와 전기심판기 (0) | 2014.07.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