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럽에서 운동을 하다 보면 선수들끼리 돌아가면서 심판을 보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심판이 뭘 해야 하는 것인지, 어떤 말을 해야 하는 건지 잘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래서인지 초반에는 심판을 보는 것을 서로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요.
하지만 언제까지 피하기만 할 수는 없죠! 이번 글에서는 심판이 어떤 일을 해야 하는지 간단하게 알아보고 심판이 사용하는 용어에 대해서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항상 말씀드리는 이야기이지만 저는 취미로 펜싱을 배우고 있고 정식 교육은 받은 적이 없기에 사용하는 용어가 실제 FIE 공식 대회에서 사용되는 것과는 다를 수 있어요.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펜싱경기는 심판의 주관 하에 이루어집니다. 심판은 규칙과 관습 내에서 경기의 결과를 판정하고, 벌칙을 부여하기도 합니다. 현대펜싱에서 심판은 전기심판기의 도움으로 경기를 이끕니다.
심판이 수행해야 하는 일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a) 선수 소집
b) 경기의 진행
c) 경기 전 용구, 복장 및 장비 검사
d) 전기심판기의 정상적인 작동 감시
: 심판은 자신의 고유 권한으로, 또는 선수나 감독의 요구가 있을 때 기계 결함의 검사와 위치 확인을 위한 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e) 반칙에 대한 징계 부여
f) 뚜슈를 판정
반칙에 대한 징계를 부여하는 것은 심판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입니다. 어떤 반칙들이 존재하는지, 그리고 어떤 징계를 받게 되는지에 대해서는 표를 통해서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해요.
위의 목록에서 아마추어 선수들이 조심해야 할 부분은 주로 1그룹에서 보이는데요. 특히 '선수가 삐스트에 나올 때: 규정에 적합한 검을 한 자루만 갖고 나왔을 경우. 규정에 적합한 휠드꼬르(바디코드)를 한 개만 갖고 나왔을 경우. 검 또는 휠드꼬르가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거나 규칙조항과 부합될 경우. 보호용 속옷을 착용하지 않았을 경우 심판은 그 선수에게 1그룹에 명시된 벌칙을 준다.'는 점! 경기를 나갈 때는 항상 여유분의 장비를 챙겨야 하는 이유를 이제는 잘 아시겠죠?
하지만 무엇보다도 심판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뚜슈의 판정’이라고 생각합니다. 경기 중 심판이 삐스트를 따라 움직이는 것도 전기심판기 램프의 신호를 확인할 수 있으면서 게임의 상황을 잘 관찰해 판정을 정확하게 내리기 위한 것이고, 프로 선수들이 나가는 대회에서는 비디오 판정이 의무화 된 것도 이 '뚜슈의 판정'을 위한 것이죠.
뚜슈의 구체성은 전기심판기의 신호에 의해, 때로는 부심들과의 상의를 통해 확인되어지며 꾸(coup: 찌르기; 공격)의 판정은 오직 전기심판기의 신호만을 근거로 해야 합니다. 어떤 경우에도 심판은 전기심판기에 정상적으로 뚜슈가 신호되지 않았을 경우 결코 한 선수에게 뚜슈를 부여할 수 없습니다. 단 규칙에 예시되어 있는 경우(‘비정상적인 자세의 결과로 선수가 유효면을 무효면으로 가릴 경우, 그러한 신체의 무효면에 닿은 뚜슈는 유효로 간주된다.’)와 벌칙에 의한 뚜슈는 예외입니다. 반대로, 각 종목의 특별 규칙에 따라 심판기에 의한 뚜슈를 무효로 할 수는 있어요.
전기 심판기의 신호와 함께 시간이 멈추고 대전이 중단되면 심판은 최종 ‘프라즈 다름므(경기의 상황)’를 구성하는 동작들을 간단하게 분석합니다. 뚜슈의 구체성에 대한 결정 후에 관습적인 종목의 경우 규칙의 적용을 통하여 어떤 선수가 뚜슈를 당했는지 판정합니다. 아니면 두 선수 모두 뚜슈를 당했는지(에뻬), 어떤 뚜슈도 유효하지 않는지도 판정해야 합니다.
심판이 어떤 일들을 해야 하는지 알았으니, 이제는 용어에 대해 알아보아야겠죠? 펜싱 경기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모두 프랑스어 입니다. 경기 진행도 모두 프랑스어를 사용해 이루어집니다. (단 미국에서는 영어를 사용한다고 하네요.) 경기 진행에 필요한 용어와 판정을 위해 사용되는 용어를 간단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또한 심판은 프라즈 다람므를 분석할 때 제스쳐를 함께 취해주어야 하는데요. 이 부분에 대해 간단하게 그림으로 확인한 뒤 각 용어를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엉 갸르드(En garde)
경기의 시작과 재시작을 위하여 갸르드 자세를 취할 것을 명령하는 것입니다. 선수는 "알레(Allez)"라는 다음 명령이 떨어지기 전까지 완전 정지상태로 정확한 갸르드 자세를 취하고 있어야 합니다. 단 플러레와 사브르에서 갸르드는 ‘엉 린느’ 자세를 취해서는 안 됩니다.
에뜨 부 프렛?(Etes-vous prets?) 또는 프렛?(Prets?)
경기를 시작할 준비가 되었느냐는 질문입니다. 준비가 되었으면 선수는 "위(oui. 예)", 준비가 되지 않았으면 “농(Non, 아니요)"라고 대답합니다. 대답이 없는 경우 긍정으로 간주됩니다.
알레(Allez: 시작)
경기 시작을 알리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 이전에 던져진 ‘꾸(coup)’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알뜨(Halte: 정지)
경기를 멈추라는 명렁어입니다. ‘알뜨’ 명령은 보통 선수간의 행동이 위험하거나, 문란하거나 혹은 규칙을 위반하였을 경우, 선수 중 한사람이 검을 놓쳤거나, 삐스트를 벗어났을 때, 후퇴하면서 관중이나 심판에게 너무 가까이 접근했을 때 내려집니다.
‘알뜨’ 명령 직후부터 선수는 새로운 동작을 하지 못합니다. 단 ‘알뜨’ 명령 이전에 이미 던져져 실행중인 꾸는 유효하고, 그 후 이루어진 모든 동작들은 더 이상 절대적으로 유효하지 못합니다. 만약 한 선수가 ‘알뜨’ 명령 이전에 동작을 멈추고, 그러고 나서 찔렸다면 그 뚜슈는 유효한 것으로 봅니다.
디스땅스 (Distances: 거리)
두 선수간의 거리를 말합니다. 심판이 ‘디스땅스’라고 말하는 것은 두 선수 사이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니 서로 떨어지라는(또는 너무 멀리 떨어져 있으니 더 가까이 오라는) 뜻입니다.
농 발라블(Non valable)
상대의 무효면을 찌른 경우를 말합니다.
시뮬따네(Simultanee)
두 사람이 동시에 공격했을 때를 말하며 에뻬에서는 두 선수 모두 득점을 인정하지만 플러레와 사브르에서는 고유의 관습에 따라 심판이 판정을 내립니다. 일반적으로 두 선수의 동작을 무효로 하고, 다시 시작합니다.
에뻬 경기에서 두 선수 모두에게 점수가 인정된 경우입니다. 이를 '꾸 두블'이라 합니다.
뚜세(Touche(e))
유효타를 찌른 경우이며 득점으로 인정됩니다.
포엥(Point, 점수)
꺄르똥 존 (옐로우 카드) : 경고, 같은 경기에서 두 번 반복시 상대가 1점을 얻음
꺄르똥 루즈(레드 카드) : 경고, 상대가 1점을 얻음
꺄르똥 놔르(블랙 카드) : 퇴장
위에서 아직 소개하지 않은 용어들은 선수의 움직임에 따른 용어에요. 이에 관한 설명은 다음 글에서 이어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다음 글에서 만나요:)
'스포츠 > 펜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러레 대전 관습 (0) | 2014.08.22 |
---|---|
펜싱 심판 용어 (2) (0) | 2014.08.14 |
펜싱 배우는 곳 추천 (0) | 2014.08.10 |
사브르: 칼과 전기심판기 작동 원리 + 특별규칙 (0) | 2014.08.06 |
에뻬: 칼과 전기심판기 작동 원리 (0) | 2014.08.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