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포츠/펜싱

펜싱 심판 용어 (2)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4. 8. 14.


경기에서 선수의 움직임은 크게 악시옹 오팡시브(공격행동)와 악시옹 데팡시브(방어행동)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 행동에 따른 판정용어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아따끄’, ‘리뽀스트’, 그리고 꽁뜨르-리뽀스트는 공격행동에 해당하는 동작입니다

아따끄(Attaque: 공격)는 팔을 뻗고, 상대방의 유효면을 계속적으로 위협하면서 실행되는 최초의 공격행동을 말합니다. 팡트나 플레쉬가 이에 해당되며 만일 한 선수가 먼저 공격하였을 경우 그의 공격권을 인정한다는 뜻에서 아따끄라고 말하는 것이죠.

아따끄 동작이 한 번에 이루어졌을 경우는 쌩쁠(simple:단순)’, 동일 선에서 이루어질 경우 디렉뜨(directe:직접), 다른 선에서 이루어질 경우 엥디렉뜨(indirecte:간접). 동작이 여러 번 움직임으로 이루어졌을 경우 꽁뽀제(composée:복합)’라고 합니다.

아따끄 오 페르(Attaque au fer)는 순간적으로 칼을 쳐내는 것을 말하고 프리즈 드 페르(Prise de fer)는 반대로 상대편 선수의 칼을 잡아 제압하면서 계속적으로 접촉을 유지하는 것을 말합니다. 두 동작 모두 상대 선수에게 바로 공격이 들어간 것이 아니라 상대의 칼에 먼저 공격이 들어갔지만 아따끄로 들어간다는 점! 기억해 둡시다.

리뽀스트(Riposte)는 아따끄를 방어(빠라드)하고 나서 상대를 곧바로 또는 약간의 시간 지연 후에 찌르는 것으로 '빠라드'를 성공한 선수에 의해 이루어지는 공격행동입니다. 리뽀스트는 아래와 같이 나눠집니다.

    1. 리뽀스트 쌩쁠 디렉뜨(Riposte simple directe:단순 직접 리뽀스트)

      a) 리뽀스트 드롸트(riposte droite) : 빠라드가 이루어진 선을 떠나지 않고 상대를 찌름

      b) 리뽀스트 쉬르 르 페르(Riposte sur le fer) : 빠라드 후에 상대방 검 위로 자신의 검을 미끄러뜨리면서 행하는 리뽀스트

    2. 리뽀스트 쌩쁠 엥디렉트(Riposte simple indirecte:단순 간접 리뽀스트)

      a) 데가즈망(dégagement)에 의한 리뽀스트 : 빠라드가 행해진 반대편으로 검을 돌린 후 상대를 찌르는 리뽀스트.

빠라드가 높은 선에서 이루어진 경우(: 캬르트, 식스) 데가즈망은 상대검 밑을 지나면서, 낮은 선에서 이루어진 경우(: 옥타브, 셒팀)에는 상대 검 위를 지나면서 실행

b) 꾸뻬(coupé)에 의한 리뽀스트 : 빠라드가 이루어진 반대편으로 검을 빼어 상대를 찌르는 리뽀스트. 이 때, 검은 항상 상대의 검 끝 앞을 통과

    3. 리뽀스트 꽁뽀제(riposte composée:복합 리뽀스트)

a) 두블망에 의한 리뽀스트 : 빠라드가 이루어진 반대편의 선상에서 상대의 검 둘레에 완전한 원을 그린 후에 상대를 찌르는 리뽀스트

b) -두에 의한 리뽀스트 : 먼저 빠라드한 반대쪽 선으로 상대의 검 밑을 통과하여 지나갔다가 빠라드가 이루어진 선으로 되돌아와 상대를 찌르는 리뽀스트

꽁뜨르 리뽀스트(Contre riposte)는 리뽀스트를 방어한 선수가 행하는 공격행동으로 상대의 리뽀스트를 되막고 찌르는 경우를 말합니다.

리뽀스트(Riposte)와 꽁뜨르 리뽀스트(Contre-Riposte)는 오뽀지숑(Oposition), 딱 오 딱(Tac au tac), 아 땅 페르뒤(A temps perdu), 엉 세당(En Cedant) 등의 동작을 통해 실행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르미즈, 르두블망, 르프리즈 다따끄가 공격 행동에 해당됩니다

르미즈(Remise)는 상대선수가 빠라드나 후퇴를 한 후에 리뽀스트를 하지 않고 검의 접촉을 그대로 내버려두거나 혹은 약간의 시간이 지체된 후, 또는 간접 혹은 복합 리뽀스트를 할 경우, 공격자가 팔을 구부림 없이 첫 공격행동에 뒤따라 행하는 즉각적이고 단순한 공격행동을 말합니다.

르두블망(Redoublement)는 상대가 빠라드 후에 리뽀스트를 하지 않거나, 후퇴 또는 에스뀌브를 통하여 단순히 첫 공격을 피하였을 경우에 진행되는 새로운 단순 또는 복합동작을, 르프리즈 다따끄(Reprise d'attaque)는 갸르드 자세로 되돌아 온 후에 즉각적으로 실행하는 새로운 아따끄를 뜻합니다.

 

2.



방어행동은 빠라드(Parade)인데 이는 상대방의 아따끄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대방의 칼을 막는 것을 말합니다. 상대의 공격을 막았을 경우 수비권이 인정됩니다. 빠라드가 아따끄와 같은 선상에서 이루어지면 쌩쁠(단순) 또는 디렉뜨(직접) 빠라드, 빠라드가 공격과 반대되는 선상에서 이루어지면 회전(씨르뀔레르 또는 꽁뜨르) 빠라드라고 합니다.

빠라드는 딱(Tac), 오뽀지숑(Oposition), 엉 세당(En cedant)으로 할 수 있습니다.

 

 3.



꽁뜨르 아따끄(contre-attaque : 역공격)는 상대선수의 공격 중에 행하는 공격행동, 또는 방어-공격행동입니다. 크게 세 가지 정도로 나눠집니다.

아레(arrêt)’는 상대의 아따끄 중에 실행되는 꽁뜨르-아따끄로 상대의 공격을 '빠라드'하지 않고 공격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아레 빠르 오뽀지숑 (arrêt par opposition)’은 오뽀지숑에 의한 아레로 상대의 아따끄가 끝나게 될 선을 막으면서 실행하는 꽁뜨르-아따끄입니다.

아레 아벡 땅 데스크림(arrêt avec temps d'escrime)’은 땅 데스크림에 의한 아레입니다.

 

꽁뜨르 땅(Contre temps)은 공격 선수가 공격 도중 상대가 '아레'를 행할 때 상대의 아레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공격자의 모든 막고 찌르는 행동을 말합니다.

여기에서 땅(temps)은 땅 데스크림(Temps d'escrime)을 말하는 것으로 하나의 단순동작이 실행되어지는 시간을 뜻합니다.


간단히 말하자면 꽁뜨르 아따끄는 상대의 공격 중에 행하는 공격 또는 수비-공격 동작을 말하고 이 꽁뜨르 아따끄의 대부분은 아레입니다. 꽁뜨르 땅은 상대의 꽁뜨르 아따끄를 무산시키기 위하여 실행되는 모든 동작들을 말하는 것이고요.

앞에서 설명했던 르미즈(Remise), 르두블망(Redoublement), 르프리즈(Reprise)와 꽁뜨르 땅(Contre temps)은 바리에떼 닥숑 오팡시브(Varietees d'actions offensives)라고 불립니다.

 

4.

포엥뜨 엉 린느(Pointe en Ligne)

린느 (Les Lignes : 각 라인들)는 칼 잡은 손의 자세에 따라 구분되는 과녁의 각 부분을 말합니다. "포엥뜨 엉 린느"는 한 선수가 검을 든 팔을 편 상태에서 자신의 뽀엥뜨(칼끝)으로 상대방의 유효면을 계속적으로 위협하고 있는 특별한 자세를 말합니다. 칼은 칼 잡은 손과 일직선상에 항상 있어야 하며 칼과 칼 잡은 손 사이에는 어떠한 각도도 있어서는 안됩니다.

이 자세는 공격동작도 아니며 수비동작도 아닙니다. 한 선수가 상대의 공격전에 "포엥뜨 엉 린느"를 하고 있었다면 이 선수는 포엥뜨 엉 린느를 통해 우선권(프리오리떼)를 가지게 됩니다. 이 선수가 공격할 의도를 갖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전진 또는 후퇴, 아니면 제자리에 서있었을지라도 "포엥뜨 엉 린느"를 통해 얻은 선제권(프리오르떼)은 사라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상대에게 "아따끄 오 페르""프리즈 드 페르"를 당한 후 상대가 즉각적으로 직접적인 "아따끄"를 행할 경우 이 우선권은 상실됩니다.

관습적인 종목인 플러레와 사브르에서 위의 자세를 올바르게 판정하기 위하여서는 한 선수가 상대의 공격 전에 이 자세를 취하고 있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5.

프라즈 다름므(경기 상황)의 예를 몇 가지 살펴보는 것으로 이번 글을 마무리 짓도록 할게요! 어려운 내용이 가득했는데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1. A의 공격

attaque [touche/non valable]

유효면에 공격이 들어간 경우(touche) A가 점수를 얻습니다.

2. AB가 같이 공격

a) action simultanees(동시공격)

에뻬의 경우 두 선수 모두 득점이지만 플러레, 사브르에선 둘 모두 무효입니다.

단 동시공격에서 한쪽만 불이 들어온 경우 불이 들어온 선수에게 점수를 줍니다.

b) attaque, contre-attaque

1) attaque [touche/non valable] : attaque로 인정된 쪽의 결과만 고려합니다.

2) attaque non + contre-attaque [touche/non valable]

attaque인 쪽에서 유효타도 무효타도 없었을 경우

(심판기의 불이 들어오지 않은 경우를 말하며 이를 ‘non’이라 합니다.)

contre-attaque인 쪽의 결과에 따릅니다.

3) A의 공격(실패), B는 막고 찌름

attaque + parade riposte [touche/non valable] : 유효면을 찌른 경우 B가 점수를 얻습니다.

4) A는 공격(실패), B 막고 찌름(실패), A 다시 막고 찌름

attaque + parade riposte + contre-riposte [touche/non valable] : A의 결과에 따릅니다.

5) A의 공격 후 재공격 (B는 무 대응)

attaque + remise [touche/non valable]

6) A는 공격 + B는 막은 후 riposte 없음 + A가 재공격

attaque [touche/non valable] : attaqueA의 결과에 따릅니다.

7) A 공격(중단) + B 공격(실패) + A가 막고 찌름

attaque + contre-attaque + contre-temps [touche/non valable] : A의 결과에 따릅니다.


'스포츠 > 펜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뻬 대전 관습  (0) 2014.08.23
플러레 대전 관습  (0) 2014.08.22
펜싱 심판 용어 (1)  (0) 2014.08.13
펜싱 배우는 곳 추천  (0) 2014.08.10
사브르: 칼과 전기심판기 작동 원리 + 특별규칙  (0) 2014.08.06

댓글